신호위반했을 때 과태료 조회하는 법 총정리
관리자 2023.10.16 19:56
조회 1 │ 좋아요 1 │ 댓글 0

안녕하세요. 운전자를 위한 각종 운전 팁을 알려드리는 이제갓면허입니다!
터널을 통과하고 나서 300m 앞에 있는 과속 카메라가 있을 때나, 노란 불에서 빨간 불로 바뀌는 애매~한순간에 교차로를 지나치는 그럴 때! 순간 식겁할 때 있으셨죠?
초행길이라면 길도 보랴, 과속 카메라도 보랴, 전방 주시도 하랴 너무너무 정신이 없으셨을 거예요.
심지어 고지서는 며칠 뒤나 몇 주 뒤 잊을만하면 날아오기 때문에 계속 찜찜한 마음을 가지고 있어야 하니 그게 너무 불안하고 짜증 났어요. ㅜㅜ
(저는 차가 엄마 명의로 돼있는데, 초보 운전자 시절에는 이게 엄청난 큰일인 줄 알고 엄마한테 혼날까 봐 직접 경찰서까지 찾아가서 확인한 적도 있어요. 헤헤)
일단 1,2일 이내로 가장 빠르게!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알려드릴게요.
1. 교통민원 24 (이파인) 홈페이지, 애플리케이션
홈페이지 링크 남겨드릴게요.
여기 들어가시면, 운전자 및 차량 소유자가 교통법규. 신호위반 여부 및 과태료/범칙금 고지 상태를 직접 조회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요!
최근 단속내역 클릭
공동 인증서, 간편 인증서 등 인증 필수
범칙금과 과태료의 인터넷 납부 지원과 더불어 이의신청 및 과납, 오납 등 민원신청도 가능하십니다!
미납 내역 조회도 가능하시고요.
애플리케이션도 비슷한 과정입니다!
여기서 참고하실 건 <착한 운전 마일리지>입니다.
착한 운전 마일리지란, 안전운전 서약 후 1년 동안 신호위반, 사고 등의 이슈가 없을 때 마일리지로 적립하고 나중에 벌점에서 공제해 주는 서비스인데요.
미리미리 신청해두시면 곤란한 경우 바로 해결이 가능하겠죠?
2. 경찰청 민원전화 182에 전화로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2-3일에서 늦으면 일주일까지 확인 못하실 수도 있어요.
최근 단속내역 클릭
공동 인증서, 간편 인증서 등 인증 필수
범칙금과 과태료의 인터넷 납부 지원과 더불어 이의신청 및 과납, 오납 등 민원신청도 가능하십니다!
미납 내역 조회도 가능하시고요.
애플리케이션도 비슷한 과정입니다!
여기서 참고하실 건 <착한 운전 마일리지>입니다.
착한 운전 마일리지란, 안전운전 서약 후 1년 동안 신호위반, 사고 등의 이슈가 없을 때 마일리지로 적립하고 나중에 벌점에서 공제해 주는 서비스인데요.
미리미리 신청해두시면 곤란한 경우 바로 해결이 가능하겠죠?
2. 경찰청 민원전화 182에 전화로 확인하는 방법
이 경우, 2-3일에서 늦으면 일주일까지 확인 못하실 수도 있어요.
추가 Tip! <과태료와 벌금(범칙금)의 차이점>
과태료는 주로 무인카메라, 캠코더 등 장비를 통해서 적발되는 사례죠.
요건 운전자가 누구든, 차량 명의자, 소유주에게 비용이 부과돼요. 과태료 부과에 따른 벌점은 없지만 미납이 지속된다면 정말 최악의 경우 차량 압류를 당할 수 있다고 해요.
사전 통지 기간 -> 1차 과태료 -> 2차 과태료 -> 압류
벌점 X, 범칙금 전환 없이 과태료로 납부 가능.
범칙금은 경찰에게 직접 단속될 때 적발되고, 운전자 확인이 가능하다면 위법 차량 운전자에게 부과됩니다.
벌금(범칙금)은 과태료에 비해 금액이 적습니다. 그러나 벌점까지 부과돼요. 이게 쌓이다 보면 보험료 할증이 될 수 있고, 면허 정지 등 행정처분이 따르잖아요! 최대한 신속하게 납부합시다!
+ 벌점 40점 이상 - 면허정지 / 1년 212점 이상 / 2년 201점 이상 / 3년 271점 이상 면허 취소!!
+ 1차 납부 기간 (10일) 이내 미납 시, 20% 가산된 2차 납부 금액과 기한도 20일로 변경, 이후 즉심과 면허정지 진행
저의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경찰관 아저씨가 과태료 낼래, 범칙금 낼래 물어보실 때, 당장의 적은 금액만 보고 범칙금 낸다고 하지 마시고, 과태료로 납부하도록 합시다! 한두 푼 더 내서, 그냥 털어버리자고요!
+ 과태료는 운전자가 위반 인정할 시 범칙금 전환 가능
ex. 과태료 6만 원 나왔을 때 범칙금으로 변경하면 6만 원 과태료와 벌점 15점 부여받을 수 있어요.
그럼 마지막으로 신호위반 범칙금 알아보고 끝낼게요.
승합자동차 7만 원
승용 자동차 6만 원
이륜자동차 4만 원
도로교통법 제5조 (신호, 지시 위반)
총정리
교통민원 24 (이파인) 홈페이지 or 애플리케이션
직접 경찰에 전화 또는 방문!
정부 24 홈페이지 or 애플리케이션
사전 납부, 자진 납부 시 20% 제외한 금액 납부
본인 명의 차량만 확인 가능
과태료는 벌점 X, 범칙금은 저렴하지만 벌금 O
경찰관에게 직접 단속된 경우라면 우리 운전자 여러분이 적발 여부를 확실히 알 수 있죠.
하지만 무인 카메라나, 고정 카메라 등 적발이 걱정되는 상황이라면 대부분의 운전자는 과태료/범칙금 고지서가 집으로 배달될 때까지 적발 여부를 알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저도 몇 건이 집으로 배달되지 않아서 사전 납부 못해가지고 32,000원 낼 걸 40,000원 냈었어요.)
운전을 하다 보면, 아무리 안전 운전을 해도 꼭 한 번씩은 이런 일들이 있죠. 하지만 우리 여러분께서는 제가 오늘 알려드린 사항들로 미리미리 확인하시고, 최악의 상황이 오지 않도록 슬기로운 운전 생활하시길 바랄게요!!
운전자를 위한 플랫폼, 이제 갓 면허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