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시유턴 이럴 때만 하세요

관리자 2023.10.16 21:01
조회 0 │ 좋아요 0 │ 댓글 0

썸네일

안녕하세요. 운전자를 위한 각종 운전 정보를 전달하는 이제갓면허입니다!

운전 한 지 얼마 안 된 초보 운전자분들이나, 초행길 운전할 때에는 유턴을 어디서, 언제 해야 하는지 어려워하시는 분들이 많으실 거예요.



우리가 유턴을 할 때는, 목적지가 반대편 길가에 있을 때, 길을 잘못 돌아 되돌아갈 때 등 다양하죠.

저도 초행길 운전할 때 언제나 긴장 팍..!

그런데 표지판 아래 지시문구가 없을 때가 있어요.

능숙한 운전자분들도 헷갈릴 때 있으시죠?

오늘은 상시 유턴, 언제 할 수 있는지 확실히 알려드릴게요!


이 부분 헷갈리시는 분들이 있어서 알려드릴게요.

상시유턴과 비보호 유턴은 같은 뜻

상시유턴 = 비보호 유턴은 같은 말입니다.

다른 뜻이라고 알고 계시는 분들은 확실히 입력하세요!

상시 유턴(비보호 유턴)이란,

전방 신호에 상관없이 교통흐름을 방해하지 아니하고 유턴할 수 있는 것



사진과 같이 유턴 표지판 밑에 보조 표지판이 없는 경우를 말해요.




보조 표지판이 있는 경우는 이거예요.

"좌회전 시" 보이시죠?



이해를 돕기 위해 표지판을 설명드릴게요.

<지시표지> (ex. 유턴 표지)

기본 구조 - 청색 바탕에 흰색 표기.

도로의 통행방법 통행 구분 등 도로교통의 안전을 위해 필요한 지시를 하는 경우에 알리는 표지.

<보조 표시> (ex. "보행신호 시", "좌회전 시")

기본 구조 - 흰색 바탕에 검정·빨간색으로 표기.

주의표지, 규제표지 및 지시표지의 주기능을 운전자에게 보충해서 알려주는 표지.

일반적인 유턴 표지판의 경우 아래 보조 표지와 함께 있어 운전하기가 용이한데요.

자, 그럼 상시 유턴 즉, 비보호 유턴은 언제 할 수 있는지를 말씀드릴게요.

신호 상관없이 언제든 유턴 가능

녹색, 적색, 황색 모두 가능하다는 뜻입니다.

단, 마주 보는 차 or 우측에서 좌회전해오는 차 등 교통에 방해가 되지 않을 시입니다!

비보호 좌회전의 경우 녹색불에서만 가능하다고 말씀드렸어요. 하지만 비보호 유턴은 어느 신호든 가능합니다.

비보호 주행 시, 교통사고가 나면 비보호 주행하는 차량이 책임져야 한다는 것은 같습니다.

또 한 가지 주의할 점 알려드릴게요!




아래 노면 바닥을 보세요.

중앙선이 점선으로 돼있죠? 유턴 가능하다는 겁니다.

해당 사진에는 차선 분리대가 세워져있군요.

+차선 분리대는 불법 유턴 or 무단횡단을 막기 위해 설치됨을 알려드립니다.

아무튼, 중앙선을 넘어 유턴하시면 안 됩니다.

반드시 흰색 점선 내에 진입하셔서 유턴하세요.

더 중요한 점은 앞차가 가는 순서대로 유턴하세요.

간혹 첫 번째 차가 가기도 전에 저 뒤에 있는 차가 중앙선 넘어 유턴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사고가 날 수 있으며, 중앙선 침범이 됩니다.

꼭 기억하시고, 유의해서 안전운전하세요!


<총정리 및 Tip>

  • 상시유턴은 말 그대로 상시에 주행해도 된다.

  • 녹색, 적색 신호 상관없다.

  • 좌회전 신호, 보행자 신호일 때 가면 편히 주행 가능.

  • 도로 상황 보고, 차가 없을 때 가는 것이 상시 유턴.

  • 가장 중요한 점은, 차가 없을 때 주행해야 한다는 것.

  • 교통사고 발생 시, 유턴 차량의 과실 비율이 통상 8:2.

  • 중앙선 점선 유무 확인 필수!

  • 앞차를 따라 순서대로 안전하게 유턴하세요.


    그럼 오늘은 슬기로운 유턴 생활하세요.

    운전자를 위한 플랫폼 이제 갓 면허였습니다.

좋아요 favorite_border

댓글